반응형

체지방 2

복부 운동을 하면 뱃살이 빠질까? 살빼기의 진실

우리는 먹을 것이 넘쳐나는 시대에 살고 있지만 백여년 전만 하더라도 인간은 굶주림에 더 익숙했다. 보릿고개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먹을 것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 굶주림에서 살아남기 위해 인간이 진화한 방향이 바로 체지방의 저장이다. 체내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남은 에너지를 바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질량 대비 에너지 효율이 가장 좋은 지방으로 만들어 저장해뒀다가 에너지가 부족할 때 이것을 분해해서 다시 쓰는 것이다. 먹은 것을 살로 잘 바꾸는 체질이 굶주림에서 살아남기 유리하다. 지금은 반대로 각종 산업의 발달로 먹거리가 너무나도 많은 시대가 되었다. '먹방'이 유행일 정도로, 굶는 것을 걱정하긴 커녕 더 맛있는 음식을 찾기 위해 힘쓴다. 그러다보니 아이러니하게도 에너지의 과다한 섭취가 문제가 되는..

지방을 먹으면 살이 찔까? - 먹는 지방과 체지방의 차이

우리가 다이어트 식단을 구성할 때 흔히하는 실수 중 하나는 지방이 든 음식을 무조건 배제하는 것이다. 먹는 지방과 체지방의 차이를 몰라서 발생하는 오류인데, 그 차이를 알면 좀 더 현명하게 식단을 구성할 수 있다. 먹는 지방과 체지방의 차이 우리가 섭취하는 지방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체지방(지방조직)은 이 지방의 한 종류이다. 많은 사람들이 비만이 되지 않기 위해 신경쓰고 있는 이 체지방은, 결론부터 말하자면 먹는 지방보다 탄수화물과 더 연관성이 높다. 체지방은 에너지로 소모되지 못한 탄수화물이 체내 합성을 통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지방은 같은 질량의 다른 영양소들보다 더 높은 열량을 내기 때문에 신체는 잉여 에너지를 지방으로 변환시켜 보관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살을 뺄 때 지방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