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적금이란?
청년희망적금이란 국가에서 지원하는 청년들을 위한 적금 상품으로 만 19세에서 만 34세 사이의 청년들이 가입가능하다(군필자의 경우 최대 6년까지 복무기간을 연령에서 제외). 달마다 5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하고 2년 만기 상품이다. 2년간 만기까지 돈을 납입하면 시중이자에 더해서 저축장려금까지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있다. 1년차는 납입액의 2%를, 2년차는 납입액의 4%를 지원 받는다. 50만원 한도로 2년간 납입했을 경우 약 100만원 정도의 혜택을 볼 수 있다. 또한 이자소득 비과세 상품으로, 쉽게 말해 이자로 얻은 소득에 대해서도 세금을 내야하지만 청년희망적금에서 얻은 이자에서는 세금이 발생하지 않는다.
11개의 시중은행(KB,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를 통해 가입할 수 있으며 은행별로 금리가 다르므로 가장 높은 금리를 주는 은행에서 가입하는 것이 좋다. 최근 뉴스에 따르면 KB와 신한이 금리가 가장 높다고 한다.
청년희망적금 가입 요건은?
만 19세 ~ 만 34세로 직전 과세기간(2021년 전체)에 총급여가 3600만원 이하(종합소득액 2600만원 이하)인 청년의 경우 가입이 가능하다. 소득이 없는 경우 가입할 수 없으며, 소득이 있지만 국세청을 통한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도 가입할 수 없다. 하지만 지금 소득이 없는 경우라도 2021년에 소득금액 증명이 가능하다면 가입이 가능하다. 직종이나 근무하는 회사의 규모도 상관이 없다. 앞서 말한 연령과 소득금액 요건만 충족되면 된다. 가입 이후에 소득이 증가하였어도 가입이 취소되진 않는다.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2022년 12월 31일까지 가입을 완료하여야 한다.
청년희망적금은 5부제 가입방식으로 출생년도 끝자리에 따라 가입일이 상이하다.
-2월 21일(월) : 1991년, 1996년, 2001년 출생자
-2월 22일(화) : 1987년, 1992년, 1997년, 2002년 출생자
-2월 23일(수) : 1988년, 1993년, 1998년, 2003년 출생자
-2월 24일(목) : 1989년, 1994년, 1999년 출생자
-2월 25일(금) : 1990년, 1995년, 2000년 출생자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청년희망적금의 가입 시작일은 2022년 2월 21일이다. 현재는 미리보기 기간으로, 미리보기를 이용하면 자신이 청년희망적금에 가입이 가능한지 알아볼 수 있다. 미리보기를 신청하고 적금에 가입이 가능한 경우 2월 21일 이후에 별도의 절차없이 바로 가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위에서 말한 11개 은행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입할 수 있다. 필자는 KB국민은행을 이용하므로 KB스타뱅킹 어플을 통해 미리보기 이용 경로를 포스팅한다.
①KB스타뱅킹 어플을 실행하고 로그인한다.
②오른쪽 위에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해서 검색 서비스에 들어간 후 '청년희망적금'을 검색한다.
③아래쪽에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이벤트'를 클릭한다.
④'청년희망 적금미리보기(사전자격조회)'를 클릭한 후 지시에 따라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이 끝나면 은행 영업일 기준 2-3일 이내로 확인 문자를 받아볼 수 있다.
국가에서 지원하는 금융상품을 적절히 이용하는 것으로도 꽤 많은 금전적 혜택을 볼 수 있다. 급여를 단순히 예금통장에 모으는 경우, 이러한 금리가 좋은 상품들에 가입하는 것도 목돈을 모으는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만 포스팅을 마친다.
'생활 정보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청약제도와 청약통장 (0) | 2022.02.21 |
---|---|
헌혈앱 '레드커넥트'의 소개와 혈액검사 결과 확인하기 (0) | 2022.02.16 |
윈도우)숨김 폴더 설정, 숨김 폴더 보이게 하기 (0) | 2022.02.11 |
[스마트폰]공동인증서 파일 위치, 복사하기 (0) | 2022.01.28 |
[PC]공동인증서(공인인증서) 파일 위치, 복사 하기 (0) | 2022.01.26 |